표준모형 > 세상은 무엇으로 이루어져있는가? > 하드론, 바리온, 메존
강입자(하드론 Hadrons), 중입자(바리온 Baryons), 중간자(메존 Mesons)
|
군집 생활을 하는 코끼리들처럼 쿼크는 다른 쿼크들과 함께 존재하며 결코 독립적으로 발견되지 않는다. 쿼크로 만들어진 합성입자를 강입자(Hadron)이라 부른다.
각각의 쿼크들은 분수의 전하를 가진다고 하더라도, 그것들은 강입자가 순 정수 전하를 가지도록 결합한다. 하드론의 또 다른 한 가지 특성은 비록 쿼크가 색전하를 가진다 하더라도 강입자의 전체 색전하는 항상 0이라는 것이다. (이것에 대해서는 후에 다시 논할 것이다)
하드론은 다시 두 가지로 나누어진다.(코끼리 위에 당신의 마우스를 놓아 보아라):
...은 세 개의 쿼크로 이루어진 강입자이다. (qqq)
양성자는 두 개의 위(up)쿼크와 하나의 아래(down)쿼크로 이루어져 있으므로(uud) 중간자이고, 중성자(udd)도 마찬가지이다. |
...은 하나의 쿼크(q)와 하나의 반쿼크( )를 포함한다.
중간자의 하나의 예는 파이온( +)인데, 하나의 위(up)쿼크와 하나의 아래(down)반쿼크로 이루어진다. 어떤 중간자의 반입자는 단지 그 중간자의 쿼크, 반쿼크가 바뀐 형태이므로, 반 파이온( -)은 하나의 아래(down)쿼크와 하나의 위(up)반쿼크로 이루어진다.
중간자는 입자와 반입자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매우 불안정하다. K-중간자는 대부분의 중간자들보다 훨씬 오래 사는데, 이 때문에 이것이 "기묘하다"고 불린 이유이며, 또한 그것을 구성하고 있는 기묘(strange)쿼크에 "기묘"라는 이름을 준 이유이기도 하다. |
하드론에 대해 한 가지 이해하기 힘든 것은 하드론 질량의 매우 매우 작은 부분만이 하드론 내부에 있는 쿼크에서 기인한다는 사실이다.
|